6월달에 예약한 "아트 오브 뱅크시 월드투어 인 서울"이 진품 논란이 되면서 우여곡절 8월 20일로 연기된 전시를 관람 했다.
사전에 저럼하게 구입한 뱅크시전 얼리버드 입장권
이미 얼리버드에서 판매 흥행 성공한 이번 전시는 많은 관람객이 있을것이란 생각에 평일 월요일에 방문을 했다.
갤러리는 매월 넷째주에 휴관이나, 뱅크시전은 휴관 없이 관람이 가능하다.(갤러리 홈페이지나 티켓 안내에는 나와 있지 않아 전화로 확인 해야만 했다.)
주차는 2시간에 3,000원으로 할 수 있으나 지하철 2호선과 수인분당선이 지나가는 곳이라 차를 가져가지 않더라도 불편하지 않다. 전시를 보고나면 성수동이 들썩이는 핫플 방문을 추천한다. 오목조목한 짧은 골목을 한바퀴 돌면 명소가 많이 장소를 특정하지 않아도 갈곳이 아주 많다.
나는 핫플 투어까지 다 마치고 주차장이 있는 서울숲갤러리아포레까지 차를 가져가는 불편함도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대중교통을 추천한다.
갤러리 도착 지점에 이르러 여러 건물이 있어 머리가 혼란 스러웠다. 2건물이 마주보는 높은 빌딩쪽으로 향하면 서울숲 갤러리아포레 건물로 들어게 되는데 엘리베이터를 타고 G층(지하2층)으로 가야한다. 물론 건물내 지도인포메이션을 확인 하면 되지만, 티켓이나 갤러리 홈페이지에는 G층으로만 표기하고 있어 티켓 부터 휴관일, 찾아가는데 과정까지 매우 불친절한 정보 제공을 하고 있다.
뱅크시 전시 티켓 부스
티켓발권 및 방문자 출입 확인(전화통화) 과정을 거쳐 입장할 수 있다.
영국 경찰 분장을 한 스탭이 발열 체크를 확인하고 입장을 허락한다.
뱅크시가 활동했던 영국의 배경과 쫒고 쫒기는 영국 경찰과의 모습을 연상케하는 전시 컨셉이 도전적이고 좋았다.
검색대를 지나게 되는데, 제주도 그램카페에 와 있는 착각으로 부터 입장하게 된다.
입구에 들어 서자마자 진품 이슈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라피티 작품이 어떻게 진품으로 전시될 수 있는지 가장 궁금했다.
뱅크시의 쥐가 묘사된 업사이클 Gross Domestic Product Shop의 시계 제품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바로 전시가 사기에 가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샵에 있는 디자인 제품을 전시관의 한쪽을 장식하고 있다.
뱅크시는 작품이 갤러리에 전시 될 때 미술관 권위를 조롱하고 비판했는데, 이번 전시는 작품이 아닌, 제품이 미술관에 전시 되는 대담함을 보여주는 갤러리다.
뱅크시가 직접 사인한 작품이 아니고, 사인된 작품을 촬영한 인쇄물이다.
뱅크시 "cctv britannia" 가짜 작품
뱅크시 "cctv britannia" 진품
작품을 몇점 보고서도 누구든지 바로 알 수 있는 이번전시는 오마주가 아니라 가짜 전시라는것이다.
뱅크시 "cctv britannia" 작품을 보더라도 표절, 패러디, 오마주가 아니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유명 브랜드나 제품, 작품의 모조품을 의미하는 가짜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
물론 진품이 1점이 있어도 진정성은 있다 우길 수 있지만 관객은 바보가 아니다.
구글링하면 쉽게 찾을 수 있는 공개 이미지 프린팅
뱅크시가 10파운드짜리 지폐를 뿌렸는데, 그 작품을 대영박물관에서 매입했다한다.
그 이미지는 구굴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데, 본 전시도 그 이미지를 그대로 프린팅해서 전시를 하고 있다.
물론, 뱅크시가 사인을 할 일은 없고, 작품에 사인된 이미지파일을 인쇄한 프린팅종이다.
위 작품 또한 뱅크시 진품인듯하나 알 수 없다.
길거리 좌판에서는 60$, 미술관에서는 2,000,0000$라는 미술관의 권위와 비판을
직접 보여줬던 뱅크시 퍼포먼스를 재현 해놨다.
갤러리는 마치 좌판 뒤에서 숨어서 관객을 조롱하는 느낌이 들었다.
https://www.postmodernvandal.com/ 에서 판매 되고 있는 뱅크시 콜라주 작품